사용하는 플랫폼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로드 밸런서 타입을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VPC 플랫폼에서는 고객 서비스 특성에 최적화된 로드 밸런서 타입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대용량 네트워크 부하 분산 처리에 특화되었습니다. 고객의 서비스 규모에 따라 자동으로 성능을 조절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트래픽 분배만 수행하고 고객 서버에서 직접 응답하는 기능(DSR)을 구현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는 프록시 방식의 통신을 제공하여 세션 유지가 필요한 TCP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와 동일한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웹 기반의 콘솔에서 SSL 인증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TLSv1, TLSv1.1, TLSv1.2 등 SSL 프로토콜 중 가능한 버전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된 SSL Ciphers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는 Certificate Manager와 연동하여 편리하게 관리됩니다. Listener 당 최대 25개의 SSL 추가인증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제공하는 서버 부하 분산 방식에는 Round Robin, Least Connection, Source IP Hash 방식이 있습니다.
분산 방식 | 내용 |
---|---|
Round Robin | 로드밸런싱으로 지정된 서버들에 대해 공평하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전달합니다. 서버 커넥션 수나 응답 시간에 상관없이 그룹 내의 모든 서버를 동일하게 처리해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가장 빠릅니다. |
Least Connection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가장 적은 수 의 연결이 이루어진 서버로 할당합니다. 서버의 성능이 비슷하게 구성돼 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
Source IP Hash | 클라이언트의 Source IP 정보를 바탕으로 해시한 결과로 로드밸런싱을 실행합니다.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ource IP Hash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HTTP/HTTPS 트래픽에 대해서 패킷 헤더를 확인하여 Application 레벨에서의 분기처리를 제공합니다. 로드밸런서의 리스너에 HTTP Header 기반 분기 처리, Host Header기반 분기처리, URL Path Pattern 기반 분기처리, 가중치 기반 분기처리, Redirection 응답처리와 같은 규칙이 지원되어 보다 상세한 고급 서비스 구성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또는 보안 장비 전문 업체가 제작한 가상 어플라이언스 이미지로 서비스 체인(Service Function Chain)을 구성하는 경우, 전용 로드밸런서로 이중화 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에 대해서는 기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며 서버 모니터링과 마찬가지로 기간 선택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 수집 주기를 1분, 5분, 2시간, 1일 단위로 제공합니다. 네트워크 로드밸런서 모니터링은 Concurrent Connection, 초당 Connection, Traffic In, (Un)Available hosts 등 5가지 항목의 정보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는 Traffic Out을 포함하여 6가지 항목을 제공합니다.
여러 개의 로드밸런서 규칙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 규칙을 설정할 때는 로드밸런서 포트를 다른 로드밸런서 규칙의 포트와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서버 포트는 다른 로드밸런서 규칙의 서버 포트와 동일하게 설정하셔도 됩니다.
네트워크 로드밸런서와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의 제공기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능 | Network Load Balancer | Network Proxy Load Balancer | Application Load Balancer |
---|---|---|---|
프로토콜 | TCP, UDP | TCP, TLS | HTTP, HTTPS |
상태 확인 | O | O | O |
로깅 | X | O | O |
DSR(Direct Server Return) | O | X | X |
같은 인스턴스의 여러 포트로 로드 밸런싱 | X | X | O |
HTTP 2.0 지원 | N/A | N/A | O |
경로 기반 라우팅 | N/A | N/A | O |
SSL 오프로드 | X | O | O |
고정 세션 | O | X | O |
공인 CA에서 발급받은 SSL 인증서를 Certificate Manager에 등록하여 간단하게 로드밸런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의 유효기간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만료전 등록된 고객의 연락처로 통보합니다.
로드밸런서에 대해서는 기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며 서버 모니터링과 마찬가지로 기간 선택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 수집 주기를 1분, 5분, 2시간, 1일 단위로 제공합니다. 로드밸런서 모니터링은 Concurrent Connection, Connection Per Second, Traffic 등 3가지 항목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러 개의 로드밸런서 규칙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 규칙을 설정할 때는 로드밸런서 포트를 다른 로드밸런서 규칙의 로드밸런서 포트와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서버 포트는 다른 로드밸런서 규칙의 서버 포트와 동일하게 설정해도 됩니다.
로드밸런서에 대해서는 기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며 서버 모니터링과 마찬가지로 기간 선택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 수집 주기를 1분, 5분, 2시간, 1일 단위로 제공합니다. 로드밸런서 모니터링은 Concurrent Connection, Connection Per Second, Traffic 등 3가지 항목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로드밸런서 생성 후 Connection Idle Timeout 또는 Keep-Alive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nection Idle Timeout은 로드밸런서와 연결을 유지하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해당 시간이 지나면 연결이 강제로 해제됩니다. Long transaction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면 Connection Idle Timeout의 옵션을 조절해서 연결 시간을 설정합니다. 한편, 연결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다시 연결을 요청할 때, HTTP Keep-Alive 옵션을 사용해 기존 연결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공하는 서버 부하 분산 방식에는 Round Robin, Least Connection, Source IP Hash 방식이 있습니다.
분산 방식 | 내용 |
---|---|
Round Robin | 로드밸런싱으로 지정된 서버들에 대해 공평하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전달합니다. 서버 커넥션 수나 응답 시간에 상관없이 그룹 내의 모든 서버를 동일하게 처리해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가장 빠릅니다. |
Least Connection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가장 적은 수의 연결이 이루어진 서버로 할당합니다. 서버의 성능이 비슷하게 구성돼 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
Source IP Hash | 클라이언트의 Source IP 정보를 바탕으로 해시한 결과로 로드밸런싱을 실행합니다.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ource IP Hash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로드밸런서 타입 | 로드밸런서 성능 | 초당 HTTP 연결 수 (최소 보장) | 시간 요금 (30일 요금) | 적용 규칙 수 (5개 무료) | Inbound Data |
---|---|---|---|---|---|
네트워크 로드 밸런서 | Small | 100,000 / 30,000 | - (-) | - | - |
Medium | 200,000 / 60,000 | - (-) | - | - | |
Large | 400,000 / 90,000 | - (-) | - | - | |
Dynamic-Sizing | - | - (-) | - | - | |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 | Small | 30,000 | - (-) | - | - |
Medium | 60,000 | - (-) | - | - | |
Large | 90,000 | - (-) | |||
Extra-large | 120,000 | 45원 (32,400원) | - | - | |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 | Small | 30,000 | - (-) | -/시간 | -/GB |
Medium | 60,000 | - (-) | |||
Large | 90,000 | - (-) | |||
Extra-large | 120,000 | 45원 (32,400원) | |||
인라인 로드 밸런서 | Dynamic-Sizing | - | - (-) | - | - |
(VAT 별도)
공인 로드밸런서를 사용할 경우, Public IP 요금이 별도 청구됩니다. (-/시간, -/월)
2024년 3월 21일(KST) 정기배포 이후 생성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Dynamic-Sizing만 선택가능합니다.
Load Balancer가 처리한 트래픽은 네트워크와 동일한 요금제로 별도 청구됩니다.
Request / Response Packet size 1KB 테스트 기준입니다.
HTTPS의 초당 연결 수 성능은 HTTP 대비 1/10로 예상되나 인증키 방식 및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용량 처리 및 대규모 이벤트 처리의 경우, 별도 [고객지원 > 문의하기]로 문의 요청 부탁드립니다.
로드 밸런서 1대당 기본요금이 부과됩니다.
구분 | 과금 기준 | 요금 |
---|---|---|
로드밸런서(대당) | 시간 | - |
(VAT 별도)
로드 밸런서 1대를 한 달(30일 기준) 동안 사용하면 월간 이용료로 기본요금이 - 발생합니다.
로드 밸런서가 전송한 트래픽은 다른 서비스(Server, File Storage 등)에서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과 합산돼 월별로 청구됩니다.
네트워크 요금은 아웃바운드에 대해서만 부과됩니다.
※ 2020년 2월1일 부터 Load Balancer와 서버의 네트워크 사용량이 구분되어 조회됩니다.
이용 요금 및 사용량 구간에 따른 할인은 종전과 동일하게 적용되오니 이용에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구분 | 사용량 구간 | 요금 (GB 당) |
---|---|---|
인바운드 트래픽 | 전 구간 동일 | - |
아웃바운드 트래픽 (인터넷을 이용한 트래픽) | 1TB 이하 | - |
1TB 초과 ~ 5TB 이하 | - | |
5TB 초과 ~ 10TB 이하 | - | |
10TB 초과 ~ 30TB 이하 | - | |
30TB 초과 | - | |
아웃바운드 트래픽 (같은 존(Zone)에서 공인 IP를 이용한 트래픽) | 전 구간 동일 | - |
아웃바운드 트래픽 (같은 존(Zone)에서 비공인 IP를 이용한 트래픽) | 전 구간 동일 | - |
아웃바운드 트래픽 (다른 존(Zone)에서 비공인 IP를 이용한 트래픽) | 전 구간 동일 | - |
(VAT 별도)
(예) Classic 당월 사용 시간이 240시간이고 국내 인터넷을 이용한 전송량(아웃바운드 트래픽 기준)이 10TB이면, (240시간 x -) + (4,096GB x -) + (5,120GB x -) = - + - + - =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