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계해 각종 모니터링 항목(CPU, 메모리, 트래픽 등)에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서버를 추가로 생성하거나 반납합니다. 신규 서비스 출시를 앞두고 유연한 인프라 증설이 필요한 경우, 게임 서비스 출시 후 사용자 트래픽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예) 모니터링 결과, CPU 사용이 50% 이상이면 서버를 추가로 투입
고객 서비스 특성에 따라서 서비스 트래픽이 몰리는 특정 시간대에만 서버를 증가시키는 방식입니다. 시간대별로 서비스 트래픽에 차이가 크거나 일괄 처리 작업을 실행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예) 사용자가 많은 오후 5시~11시 사이에는 서버를 5대 추가로 투입하고, 11시 이후에는 다시 보통 수준으로 서버 대수 유지
Auto Scaling 그룹에서 운영 중인 서버에 대해 주기적으로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중 서버가 다운되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 해당 서버는 서비스에서 제외되고 동일한 구성의 서버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고객의 서비스 가용성과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Auto Scaling 그룹에서 운영 중인 모든 서버 상태를 Monitoring(임계치 기반의 통보 설정)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습니다. 그룹 내 서버들의 모든 자원(CPU Usage, Load Average, Memory Usage 등)에 대해서도 손쉬운 설정을 통해 모니터링 가능하며, 고객이 설정한 모든 모니터링 항목은 대시보드 통합 조회 기능으로 제공됩니다.
일반적으로 Auto Scaling 기능으로 서버를 반납할 경우, 먼저 생성된 서버부터 반납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서버 중 먼저 반납할 대상을 고객이 지정하기 원할 경우, API 질의 방식으로 대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용률이 낮은 서버부터 반납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